가을당근 파종시기, 수확 방법
서늘한 기운 속에서 시작되는 가을당근 재배
가을이 찾아오면 텃밭을 가꾸는 사람들에게는 또 하나의 즐거움이 생깁니다. 바로 ‘가을당근’ 재배입니다. 당근은 비교적 재배가 쉬운 뿌리채소이지만, 파종 시기를 잘못 잡으면 수확량이 떨어지고 품질도 좋지 않게 됩니다. 특히 가을당근은 여름의 더위가 한풀 꺾인 이후, 적당한 온도와 습도에서 파종해야 알이 굵고 색이 선명한 당근을 수확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시기 판단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가을당근 파종시기를 중심으로, 재배 준비, 품종 선택, 파종 후 관리, 수확 시점까지 텃밭 재배자들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를 종합적으로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가을당근 파종시기: 지역별 적정 시기
가을당근은 기온이 점차 낮아지는 시기에 심는 작물인 만큼, 파종 시기의 판단 기준은 '첫서리 이전까지 수확이 가능한지' 여부에 달려 있습니다. 당근의 생육일수는 품종에 따라 약 80일~100일 정도가 소요되며, 서리 피해를 받기 전까지는 충분히 성장해야 합니다.
중부지방 가을당근 파종시기
- 파종 시기: 8월 중순 ~ 9월 초
- 수확 시기: 11월 초 ~ 중순
- 기온 조건: 파종 초기 20~25℃, 생육기 15~20℃ 유지
남부지방 가을당근 파종시기
- 파종 시기: 8월 말 ~ 9월 중순
- 수확 시기: 11월 중순 ~ 12월 초
- 기온 조건: 온난한 지역일수록 늦게 파종 가능
고랭지·산간지역 가을당근 파종시기
- 파종 시기: 7월 중순 ~ 8월 초
- 수확 시기: 9월 ~ 10월
- 특이사항: 고온기 파종으로 병해충 대비 필요
제주도 가을당근 파종시기
- 파종 시기: 9월 중순 ~ 10월 초
- 수확 시기: 12월 ~ 1월
- 특이사항: 월동재배가 가능하나 해거름 전 기온 급강하에 주의
가을당근 재배 준비사항
품종 선택
- 단기형(조기 수확): ‘아담’, ‘세리당근’, ‘하니로얄’ 등 - 약 75~80일 재배
- 중장기형(고품질 수확): ‘홍광’, ‘탑퀸’, ‘나이스레드’ 등 - 약 90~100일 재배
밭 준비
- 토양 조건: 사양토 또는 양질의 모래양토
- pH: 6.0~6.8
- 심토 깊이: 최소 25cm 이상 깊이 갈아주기
- 비옥도: 퇴비 충분히 시용 후 2주간 침적
파종 준비
- 종자 처리: 온수(약 45~50℃)에 30분 담근 후 바로 파종
- 파종 간격: 줄 간격 20~25cm, 포기 간격 2~3cm
- 파종 깊이: 1~1.5cm (너무 깊게 심으면 발아율 저하)
파종 이후 관리 요령
발아 관리
- 당근은 광발아성이 아니므로 흙을 가볍게 덮되, 건조하지 않게 유지해야 함
- 파종 후 5~7일 내 발아, 온도 20℃ 내외일 때 가장 이상적
물관리
- 씨앗이 잘 발아하려면 표토가 마르지 않도록 주기적 관수
- 지나친 수분은 뿌리 썩음 유발하므로 배수성 확보 중요
솎음과 잡초제거
- 1차 솎음: 본엽 2매일 때, 밀식된 부분 솎음
- 2차 솎음: 본엽 4~5매일 때, 간격 유지해 최종 3~4cm 간격 확보
- 잡초제거: 초기 제초 필수, 당근의 초세가 약해 잡초에 쉽게 밀림



병해충 방제
- 흰무늬병, 검은무늬병, 당근파리 유충 주의
- 친환경 재배 시 고삼추출물, 데리스제 등 선택적 방제제 사용
- 병 발생 흔적 보이면 조기 제거 및 환기 확보
가을당근 수확 시기 및 저장 요령
가을당근 수확 시기 판단
- 일반적으로 파종 후 90~100일, 뿌리 둘레 5~6cm 이상 자랐을 때
- 너무 오래 두면 당도가 떨어지고 목질화 우려 있음
가을당근 수확 방법
- 비온 직후 피하고, 흙이 적당히 촉촉할 때 수확
- 포크 삽 등으로 뿌리 손상 없이 들어 올림
- 줄기 제거 후 바로 그늘에서 말려 저장
저장 요령
- 신선한 상태에서 상온 5~10℃, 습도 90% 내외 보관
- 흙 묻은 채로 보관하거나, 신문지에 싸서 상자에 담아 냉장 보관 가능
- 장기 저장 시 모래 저장 방법도 효과적
가을당근 재배 시 주의사항
- 고온기 파종 주의: 9월 초까지는 낮 기온이 30℃에 육박할 수 있으므로 파종 시간을 아침이나 저녁으로 조정하고, 차광망 설치도 고려
- 급작스러운 추위: 11월 이후 급격한 한파에 대비해 부직포나 비닐 멀칭 준비
- 무리한 시비 금지: 질소비료 과다 시 뿌리 갈라짐, 균형 잡힌 시비 필요
- 품종별 생육 특성 확인: 조생종과 만생종의 생육일수 차이를 반드시 고려
가을당근 텃밭 재배 FAQ
Q1. 가을당근은 왜 여름이 끝난 후 심어야 하나요?
A1. 당근은 서늘한 기온에서 잘 자랍니다. 여름철 고온은 생육을 저해하고 병충해 발생이 높아지므로, 기온이 20도 이하로 떨어지는 시점이 적기입니다.
Q2. 발아가 잘 안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A2. 파종 깊이가 너무 깊거나, 파종 후 토양이 건조하면 발아율이 낮아집니다. 당근은 수분이 충분한 얕은 흙층에서 잘 자라므로 매일 살수하는 것이 좋습니다.
Q3. 옆으로 갈라진 당근이 나오는 이유는?
A3. 토양에 돌, 뿌리장애물이 있거나, 수분과잉 또는 시비불균형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 심토를 깊고 고르게 정비하고, 비료는 균형 있게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Q4. 씨앗은 어디에서 구매하는 것이 좋나요?
A4. 농협, 종묘상, 온라인 농자재 쇼핑몰(씨앗나라, 다농 등)에서 품종별로 다양하게 구입 가능합니다. ‘농촌진흥청 인증종자’ 표시 확인 필수입니다.
결론
가을당근은 단순히 텃밭에 심는 채소를 넘어서, 사계절 중 가장 풍미 깊은 뿌리채소 중 하나입니다. 기온 변화에 민감한 작물인 만큼 파종 시기와 초기 관리가 성공의 70%를 좌우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본문에서 제시한 시기와 지역별 기준을 참고하시고, 품종과 토양 상태에 맞는 재배 전략을 세우신다면 누구나 당도 높고 색깔 고운 가을당근을 수확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농업, 주말농장, 전원생활 어디에서나 손쉽게 재배해 보세요.
'식물, 원예, 텃밭'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장배추 웃거름 주는 시기, 수확 (0) | 2025.09.21 |
---|---|
쪽파 심는시기 ~ 수확 (0) | 2025.09.14 |
피살리스 가격, 효능, 재배, 모종, 꽈리 (0) | 2025.09.05 |
고구마 수확시기, 방법 (0) | 2025.09.04 |
알타리무 파종시기, 병해충 (0) | 2025.09.03 |